티스토리 뷰
디지털 생태계 중심의 플랫폼 혁신 기업 카카오
카카오는 대표적인 IT 플랫폼 기업으로, 메신저 서비스 카카오톡을 중심으로 콘텐츠, 금융, 커머스, 모빌리티, AI 등 다양한 영역으로 사업을 확장해 오고 있는 디지털 생태계 중심 기업입니다. 2010년 모바일 메신저 카카오톡의 출시 이후 폭발적인 사용자 증가를 바탕으로,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을 넘어서 생활의 모든 영역을 연결하는 생활밀착형 플랫폼으로 진화해 오고 있습니다. 현재 카카오는 약 4,700만 명에 이르는 월간 활성 사용자를 기반으로 하여 대한민국 국민의 일상에 깊이 스며든 플랫폼 사업을 전개하고 있고, AI 및 글로벌 콘텐츠 IP 사업을 차세대 성장축으로 삼아 미래 산업 전환에도 적극 대응 중에 있습니다.
카카오의 주요 사업 영역과 플랫폼 생태계
카카오는 크게 플랫폼 부문(톡비즈, 포털비즈, 신사업)과 콘텐츠 부문(카카오엔터테인먼트, 카카오게임즈, 멜론컴퍼니 등)으로 구성된 포괄적 플랫폼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플랫폼 부문은 카카오톡 기반의 광고, 커머스, 결제 서비스를 포함하고 있으며, 콘텐츠 부문은 웹툰, 웹소설, 음악, 게임, 영상 등의 디지털 콘텐츠 전반을 아우르고 있습니다.
① 플랫폼 부문 사업
카카오톡은 기본적인 메신저 기능 외에도 채널(구 플러스친구), 선물하기, 카카오페이, 카카오뱅크, 카카오T 등과 연계되어 강력한 커뮤니케이션 기반의 경제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특히 광고 기반 수익 모델인 톡비즈는 기업들이 자사의 브랜드를 카카오 채널을 통해 노출하고 있으며, 개인 맞춤형 메시지와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케팅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카카오페이는 송금, 결제, 인증, 투자 등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2021년 상장 이후 핀테크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카카오뱅크는 인터넷은행으로 현재 약 2,000만 개 이상의 계좌를 확보하고 있고, 중금리 대출 확대와 함께 수익 구조를 고도화하고 있습니다. 모빌리티 서비스인 카카오T는 택시, 대리운전, 내비게이션, 주차, 바이크 등 다양한 이동 서비스를 통합 제공하고 있고, 대리운전 시장 점유율 1위를 유지 중에 있습니다.
② 콘텐츠 부문 사업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웹툰 및 웹소설 IP를 기반으로 영상, 드라마, 영화, 게임 등 2차 콘텐츠로 확장하고 있는 IP 비즈니스 모델을 운영하고 있고, 2024년부터 북미 시장에서의 성과도 가시화되고 있습니다. 대표 플랫폼으로는 카카오웹툰, 카카오페이지, 픽코마(일본) 등이 있고, 일본 픽코마는 일본 웹툰 시장 점유율 1위를 지속 중에 있습니다.
카카오게임즈는 PC 및 모바일 게임 퍼블리싱과 자체 개발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고 있고, 우마무스메, 가디언테일즈, 이터널 리턴 등 다양한 장르의 게임을 통하여 안정적인 수익 기반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멜론컴퍼니는 국내 최대 음악 플랫폼의 멜론을 통해 음원 스트리밍, 아티스트 IP 기반 콘텐츠의 유통, 공연 및 팬덤 플랫폼 등으로 확대 중에 있습니다.
신사업과 글로벌 전략 - AI, 모빌리티, 콘텐츠 중심 확장
카카오는 2023년부터 AI 기반 서비스 고도화에 집중하고 있고, 카카오브레인과 카카오엔터프라이즈를 중심으로 초거대 언어모델(KoGPT), AI 상담봇, AI 번역, 추천 알고리즘 최적화 등 다양한 인공지능의 기술을 상용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생성형 AI 플랫폼은 광고 자동화, 콘텐츠 제작 지원, 챗봇 서비스 등에 적용되어 기업 고객과 사용자 모두의 경험을 개선 중에 있습니다.
글로벌 시장 전략 또한 강화되고 있습니다. 카카오엔터는 북미와 일본, 동남아 지역을 중심으로 웹툰 및 웹소설 플랫폼을 현지화하며 IP를 수출하고 있고, 2025년 기준 일본의 픽코마, 북미의 타파스, 래디쉬 등에서 매출이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글로벌 OTT 플랫폼과의 협업을 통한 드라마와 영화 콘텐츠 확장도 가시화되고 있습니다.
또한 ESG 경영을 강화하고 있으며 지속 가능한 디지털 생태계를 구축 중에 있습니다. 탄소중립 데이터센터 구축, 플랫폼 알고리즘 투명성 강화, 지역 상생 프로젝트 등 다양한 ESG 이슈에 적극 대응하고 있고, ESG 보고서를 통해 이해관계자와의 소통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규제 리스크 및 경영 불확실성을 점차 해소하면서 회복세의 주가흐름
▶ 2024년 실적 요약
- 연결 매출: 약 7조 8,000억 원
- 영업이익: 약 4,600억 원
- 영업이익률: 약 5.8%
2024년 카카오는 광고 시장의 회복과 콘텐츠 부문의 글로벌 성장세, 카카오페이의 거래액 증가, 모빌리티 부문의 수익성 개선 등을 기반으로 실적의 반등에 성공했습니다. 특히 콘텐츠 부문은 일본, 북미에서의 웹툰 매출 증가와 더불어 IP의 2차 확장에서 긍정적인 성과를 보였습니다.
▶ 2025년 5~6월 주가 및 시가총액
- 주가: 약 36,000~60,000원
- 시가총액: 19일 기준 약 26.6조 원
2023~2024년 동안의 규제 리스크와 경영 불확실성을 점차 해소하면서 카카오의 주가는 점진적으로 회복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AI 및 글로벌 콘텐츠 IP 확장 전략, ESG 기반의 브랜드 신뢰 회복 등 중장기 성장성이 반영되고 있으며 투자자들의 기대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중장기 투자 포인트 및 리스크 요인
투자 포인트
- AI 기반 초개인화 서비스와 광고 자동화 기술 확대
- 카카오웹툰, 픽코마 등 글로벌 IP 플랫폼 매출의 지속 성장
- 핀테크, 모빌리티 등 실물경제 기반의 플랫폼의 확장성
- 4,700만 MAU 기반의 압도적 사용자 리치와 연결성
- ESG 경영 기반의 장기 지속적인 가능성 확보
주요 리스크
- 플랫폼 규제와 개인정보보호 강화로 인한 수익성 제한
- 콘텐츠 경쟁 심화와 제작비 증가에 따른 수익성 저하
- 자회사 IPO 일정 지연 및 성장성 둔화의 우려
- 글로벌 시장에서의 수익화와 현지화 전략 정교화 필요
디지털 플랫폼의 중심에서 AI, 글로벌로 도약
카카오는 단순한 메신저 기업을 넘어, 커뮤니케이션, 금융, 콘텐츠, 모빌리티 등 다양한 산업을 연결하고 있는 종합 디지털 플랫폼 기업으로 진화했습니다. 현재 생성형 AI 기술과 글로벌 콘텐츠 IP 경쟁력을 기반으로 새로운 성장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고, ESG와 사용자 경험 중심의 경영 철학으로 브랜드 신뢰를 회복 중에 있습니다.
단기적으로 광고 경기와 규제 대응, 자회사의 실적 개선이 관건이지만, 중장기적으로는 AI 생태계 확대, 글로벌 IP 수출 모델 확산, 그리고 4,700만 MAU 기반의 커머셜라이징(수익화) 전략을 통하여 시장 지배력을 강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플랫폼의 확장성과 기술 기반의 융합 전략이 유효하게 작동한다면 카카오는 다시 한번 대표적인 초격차 IT 플랫폼 기업으로 평가받을 것입니다.